동안거기도음력 10월 보름부터 이듬해 정월 보름까지 90일간의 기도를 올리고 있습니다.
하안거기도
(백중기도)
음력4월보름부터 우란분절인 7월보름까지 90일간 봉행합니다. 전생 현생의 부모님을 비롯한 모든 조상과 일체 인연영가의 천도를 위하여 천도의식을 하며 그 막재는 우란분절(음력 7월15일)에 치른다.
인연기도결혼발원, 결혼을 앞둔 예비부부 축원, 가족화합 발원 등
초삼일기도매월 음력1일~3일
입춘삼재기도입춘절에 삼재에 해당하는 분들의 삼재소멸을 기도합니다.
동지기도동지에 새해를 준비하는 기도를 올리고 함께 팥죽을 나누는 시간입니다.
인등기도부처님의 가호력에 힘입고자 하는 소망으로 인동기도를 올립니다. (수시접수)
개인축원기도생일, 시험, 건강발원 등을 위한 기도를 올립니다.
사십구재사람이 죽으면 다음 생(生)을 받을 때까지 육신은 없이 혼령만 있는 중음신(中陰身)으로 떠돌게 되는데 이 기간이 49일이라고 합니다.
이 기간 동안 죽은 이는 저승에서 생전에 지은 업(業)에 대해 옳고 그름을 헤아려 그 업에 따라 다음 생을 받게 되는데, 영가(靈駕)를 위해 덕 높은 스님을 모셔 좋은 법문을 일러주면 영가가 그 법문을 듣고 깨달아 좋은 곳에 왕생한다 하였습니다.
또한 유가족들이 죽은 이를 위해 재(齎)를 베풀어 공덕을 지으며 그 공덕의 힘으로 죽은 이가 좋은 곳에 갈 수 있다고 가르치고 있습니다.

동참안내

1. 부고
가족 및 주의분이 돌아가시면 법등 임원이나 사찰 종무소에 연락합니다. 선덕사 스님께서 임종 시 혹은 임종 후에도 염불·독경을 해드립니다.

2. 장례 및 반혼재
장례시 필요한 절차에 따라 영가수계염불, 입관염불, 발인염불을 해드립니다. 모든 장례 절차가 끝나고 고인의 위패를 사찰에 안치합니다.

3. 천도의식
7일마다 재를 지내어 마직막 사십구재를 드릴 때 천도의식을 진행합니다.

천도재천도재는 주로 사십구재의 기일 이외에 별도로 사십구재와 같은 재를 올리는 것입니다.
예를 들면 사십구재를 미처 올려주지 못한 영가나, 죽음에 대한 준비가 전혀 없이 사고를 당한 양가는 생전의 삶에 대한 애착, 억울함, 혼란한 생각으로 중음신으로 떠돌게 되는데 이때 영가가 망령이 되어 주위에 떠돌거나 악도에서 고통 받을 때에는 자손들에게 도움을 청하는데 이런 신호는 꿈으로 선몽되거나 심한 경우 더러 자손들에게 빙의되어 원인 모를 병으로 나타나기도 합니다. 이것을 우리는 흔히 영가장애라고 부르며 장애가 특히 병으로 오는 경우에는 천도재의 식순 중 시식순서에서 구병시식을 하기도 합니다.
기제사기제사는 선망조상이나 먼저 가신 가족 친지를 위하여 영가의 기일에 재공양을 올리는 의식을 말합니다.
설·추석
합동차례
가정에서는 돌아가신 조상들을 위하여 명절마다 가족이 모여 차례를 지냅니다. 사찰에서도 설날·추석 명절 차례를 함께 지낼 수 있습니다.


자세한 것은 종무소에 문의 바랍니다.
문의 : (061) 276-1627